🗄️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이해하기¶
1. Amazon S3란?¶
Amazon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 쉽게 말해, “클라우드에 올려두는 무제한 하드디스크”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일(이미지, 영상, 문서 등)을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어요.
2. S3의 주요 특징¶
📦 객체(Object) 단위 저장¶
파일을 “객체”라는 단위로 저장 (객체 = 데이터 + 메타데이터)
🪣 버킷(Bucket)¶
S3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상위 컨테이너 (하드디스크의 폴더 같은 개념)
🌍 글로벌 접근 가능¶
인터넷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
🔒 보안/권한 제어¶
IAM 정책, 버킷 정책, ACL을 통해 접근 제어 가능
💸 비용 효율적¶
사용한 스토리지 용량과 요청 수에 따라 과금 (Pay-as-you-go)
♻️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
자주 쓰는 데이터 → Standard
잘 안 쓰지만 보관해야 하는 데이터 → Glacier (아카이브)
3. S3 아키텍처 개념도¶
graph TD
User[사용자/애플리케이션] --> Internet[인터넷]
Internet --> S3Bucket["Amazon S3 Bucket"]
S3Bucket --> Object1["Object: 이미지.png"]
S3Bucket --> Object2["Object: 보고서.pdf"]
S3Bucket --> Object3["Object: 동영상.mp4"]
4. S3 활용 사례¶
🌐 웹사이트 정적 호스팅 (HTML, CSS, JS 배포)
📷 이미지/동영상 저장소 (유튜브/넷플릭스 같은 미디어 서비스)
🗄️ 백업/아카이브 (DB 백업, 로그 저장)
🧠 데이터 레이크 (빅데이터 분석용 데이터 저장소)
🤖 AI/ML 학습 데이터 저장소
5. S3를 시작하려면?¶
AWS 콘솔에서 S3 버킷 생성 (버킷 이름 + 리전 선택)
객체(파일) 업로드
권한 설정 (퍼블릭/프라이빗, IAM 정책, 버킷 정책)
필요 시 버전 관리, 수명 주기 정책 설정
애플리케이션에서 S3 API/SDK로 데이터 읽고 쓰기
✅ 정리¶
Amazon S3는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 웹사이트, 모바일 앱,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 백업 등 거의 모든 IT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 비유하자면,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무제한 온라인 폴더” 라고 생각하면 가장 쉽습니다.
- 참고 링크 : https://velog.io/@yjshin/AWS-S3-Simple-Storage-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