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이동

🌐 Amazon Route 53 정리


1️⃣ Amazon Route 53이란?

Amazon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관리 서비스입니다.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을 IP 주소(예: 192.168.0.1)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쉽게 말해,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로 바꿔주는 AWS의 전화번호부 서비스” 입니다.

2️⃣ 주요 기능


기능 설명
🌍 도메인 등록 (Domain Registration) AWS 콘솔에서 직접 도메인을 구입/등록 가능
🔁 DNS 라우팅 (DNS Routing) 사용자의 요청을 가장 적절한 서버나 리전으로 전달
🧭 헬스체크 (Health Check)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 서버로의 트래픽 자동 우회
🌎 트래픽 정책 관리 (Traffic Policy) 지리적 위치, 지연 시간, 가중치 기반의 트래픽 분배 가능
🧱 통합성 (Integration) ALB, S3, CloudFront, API Gateway 등과 통합 사용 가능

3️⃣ Route 53 아키텍처 시각화


flowchart TD
    A["👩‍💻 사용자 (www.example.com)"] --> B["Amazon Route 53 (DNS Resolver)"]
    B -->|도메인 조회| C["Public Hosted Zone"]
    C --> D["Application Load Balancer"]
    D --> E["ECS / EC2 / S3 등 Backend 서비스"]

image

4️⃣ 라우팅 정책 유형


라우팅 정책 설명 예시
단순(Simple) 한 도메인 → 한 IP 매핑 example.com → 1.1.1.1
가중치(Weighted) 여러 서버에 비율로 트래픽 분배 A서버 70%, B서버 30%
지연 시간(Latency)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기준으로 가장 빠른 리전에 연결 서울 사용자 → ap-northeast-2
장애 조치(Failover) 1차 서버 다운 시 2차 서버로 자동 전환 Active-Passive 구성
지리적(Geolocation) 사용자의 지역별로 다른 리전으로 연결 일본 → 도쿄 리전, 한국 → 서울 리전
멀티 밸류 응답(Multi-Value Answer) 여러 IP 반환, 헬스체크 기반 자동 장애조치 다중 서버 운영

5️⃣ 헬스체크(Health Check)

HTTP/HTTPS/TCP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서버 상태 확인

응답 실패 시 비정상 서버로의 트래픽 차단

CloudWatch와 연동하여 장애 알림 자동화 가능

6️⃣ 현업 활용 사례

🌐 글로벌 서비스 도메인 운영

Route 53 + CloudFront 조합으로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른 DNS 응답 제공

🏢 멀티 리전 구성 (Active-Passive)

서울 리전 장애 시 도쿄 리전으로 자동 전환

📦 S3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Route 53에서 S3 버킷을 웹사이트 엔드포인트로 연결

📊 모니터링 자동화

헬스체크 + CloudWatch로 서버 상태 자동 감시

✅ 정리

Amazon Route 53 = AWS의 DNS 관리 서비스

주요 기능: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헬스체크, 트래픽 분배

라우팅 정책: 단순 / 가중치 / 지연 시간 / 장애 조치 / 지리적 / 멀티밸류

현업 활용: 글로벌 서비스 트래픽 분산, 멀티 리전 장애조치, 도메인 관리

👉 한마디로, “Route 53은 사용자의 요청을 가장 빠르고 안전한 경로로 안내하는 AWS의 인터넷 내비게이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