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이동

🕵️‍♂️ Amazon Inspector 정리


1️⃣ Amazon Inspector란?

Amazon Inspector는 AWS 환경에서 실행 중인 리소스(EC2, ECR, Lambda 등)에 대해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분석·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 쉽게 말해, “AWS 리소스의 보안 헬스체크 자동 진단기” 입니다.


2️⃣ 주요 기능

🔍 취약점 스캔 (Vulnerability Scanning)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이미지(ECR), Lambda 함수의 보안 취약점 자동 감지

🧠 지속적 모니터링 (Continuous Scan)

리소스가 변경되면 자동 재스캔 (실시간 감시)

🛡️ CVE 기반 평가

CVE(공통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위험도 평가

📊 심각도 기반 리포트 제공

Critical / High / Medium / Low 등으로 결과 분류

🔔 자동 알림 및 대응

Amazon EventBridge, Security Hub, SNS 등과 연동해 알림 또는 자동 조치 가능


3️⃣ 아키텍처 시각화

flowchart TD
    A["AWS 리소스 (EC2 / ECR / Lambda)"] --> B["Amazon Inspector"]
    B --> C["CVE Database (취약점 정보 매칭)"]
    B --> D["Findings (취약점 보고서)"]
    D --> E["Amazon EventBridge"]
    E --> F["자동 대응 (Lambda, SNS, Security Hub)"]

4️⃣ 분석 대상별 주요 점검 항목


대상 점검 항목 예시
EC2 인스턴스 OS 취약점, 잘못된 패키지 버전 OpenSSL, Apache 취약점
ECR 컨테이너 이미지 라이브러리 취약점, CVE 비교 Log4j, glibc 취약점
Lambda 함수 패키지 종속성 취약점 Python/Pip 모듈 버전 점검

5️⃣ 현업 활용 사례

🏢 보안팀 / DevSecOps

신규 EC2, 컨테이너 배포 시 자동 취약점 점검 파이프라인 구성

🚀 CI/CD 파이프라인 통합

CodePipeline → ECR → Inspector → 배포 전 자동 검증

🧩 보안 규제 대응

PCI-DSS, ISO 27001 등 컴플라이언스 감사 시 보안 증적 확보

🧠 보안 자동화

EventBridge + Lambda 연동 → Critical 취약점 발견 시 자동 알림 및 격리


✅ 정리

Amazon Inspector = AWS 리소스 보안 취약점 자동 분석 서비스

대상: EC2, ECR, Lambda

기능: CVE 기반 취약점 스캔, 지속 모니터링, 자동 알림/대응

현업 활용: DevSecOps 파이프라인, 보안 감사, 자동 보안 대응

👉 한마디로, “AWS 보안팀의 자동화된 취약점 탐지 도우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