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이동

📁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정리


1️⃣ Amazon EFS란?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네트워크 파일 스토리지(NAS) 서비스입니다.

👉 쉽게 말해, “여러 EC2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 폴더” 입니다.


2️⃣ 주요 특징

특징 설명
☁️ 완전관리형 서비스 파일 서버 구축·운영 불필요 (AWS가 자동 관리)
📂 공유 스토리지 여러 EC2 인스턴스가 동시에 접근 가능 (Linux NFS 방식)
📈 자동 확장(Elastic) 저장 용량이 자동으로 확장/축소됨
🛡 고가용성 & 내구성 리전 내 여러 AZ에 자동 복제
💰 종량제 과금(Pay-as-you-go) 저장한 데이터 용량만큼만 비용 부과
🔒 보안 통합 IAM, Security Group, KMS 암호화 지원

3️⃣ 아키텍처 시각화

flowchart TD
    A["EC2 Instance #1"] --> B["Amazon EFS"]
    C["EC2 Instance #2"] --> B
    D["Lambda / ECS / EKS"] --> B
    B --> E["S3 Backup (Lifecycle 관리 가능)"]

image

🧠 설명: EFS는 여러 EC2, Lambda, ECS 등에서 동시에 연결되어 파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파일 서버를 직접 구축하지 않아도 됩니다.


4️⃣ EBS / EFS / S3 비교

구분 EBS EFS S3
형태 블록 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 객체 스토리지
접근 방식 1개의 EC2에만 연결 여러 EC2에서 동시 접근 웹/API 기반 접근
확장성 수동 확장 자동 확장 무한 확장
프로토콜 블록 (ext4, XFS) NFS HTTPS / SDK
사용 예시 데이터베이스, OS 디스크 애플리케이션 로그, 공유 폴더 백업, 이미지 저장소

5️⃣ 현업 활용 사례

🧩 웹 애플리케이션 공유 스토리지

여러 EC2 인스턴스가 동일한 코드나 이미지 파일을 공유

🧠 머신러닝 학습 데이터 저장소

EFS에 대규모 학습 데이터 저장 → SageMaker/Lambda에서 접근

🧾 로그 수집 및 분석

여러 서버의 로그를 한 곳(EFS)에 모아 분석

🧰 ECS / EKS 컨테이너 공유 파일시스템

컨테이너 간 공용 데이터 저장


6️⃣ 주요 사용 시 고려 사항

항목 설명
성능 모드 General Purpose / Max I/O 선택 가능
스루풋 모드 Bursting / Provisioned
마운트 방식 NFS v4.1 (Linux 기반)
백업 AWS Backup 또는 Lifecycle 정책으로 S3에 저장 가능
비용 최적화 자주 쓰지 않는 데이터는 “EFS Infrequent Access (EFS-IA)”로 자동 이동

✅ 정리

Amazon EFS = 완전관리형 공유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

여러 EC2, Lambda, ECS 등에서 동시에 접근 가능

자동 확장 + 다중 AZ 복제 + 높은 내구성 제공

현업 활용: 공유 코드 저장소, 로그 분석, 머신러닝 데이터 저장, 컨테이너 파일 공유

👉 한마디로, “AWS에서 클릭 몇 번으로 구축하는 고가용성 네트워크 파일 서버 (NAS)” 입니다.